대우조선해양, 창사이래 최초 수주 100억 달러 돌파

입력 2006-10-01 10: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우조선해양이 LNG선 1척 등 총 3척의 선박을 수주하며 창사이래 최초로 수주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대우조선해양은 1일 대만의 TMT社(TMT Co., Ltd.)로부터 LNG선 1척을 수주하고 그리스의 브레이브(Brave Maritime Corporation Inc.)社로부터 8만3000㎥급 대형 LPG선(VLGC: Very Large Gas Carrier) 2척을 수주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 선박의 총 가격은 약 4억 3000만 달러에 달한다. 이번에 대우조선해양이 수주한 LNG선은 2010년 8월, LPG선은 2010년 1월까지 모두 인도할 예정이다.

이번 수주로 대우조선해양은 현재까지 총 41척, 102억 달러 상당의 선박과 해양플랜트를 수주함으로써 사상 최대였던 작년도 68억달러의 수주기록을 갱신했다. 수주잔량은 약 230억 달러로 향후 3년치 이상의 안정적인 조업물량을 확보했다.

금액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풍성한 수확을 거두었다. 대우조선해양은 LNG선 14척, 초대형유조선(VLCC) 11척, 초대형컨테이너선 4척, 드릴쉽 3척, 해양플랫폼 4기 등을 수주해, 고부가가치선 비중이 업계 최고인 88%에 달한다.

척당 평균 수주 단가 역시 업계 최고인 2억5천만 달러에 달한다. 이는 대우조선해양이 지향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선박 선별수주 전략의 결과로 평가 받고 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올들어 총 7기 42억 3천만 달러어치의 해양플랜트를 수주해 작년 수주 실적인 14억 7천만 달러를 3배 가까이 뛰어넘었다. 세계 해양 플랜트 사상 한해에 40억달러 이상을 수주한 것은 대우조선해양이 처음이다.

또 고부가가치 선박의 대표격인 LNG선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14척을 수주했으며, 수주잔량도 38척으로 세계 최대의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남상태 사장은 "현재 LNG선 4∼5척 등 진행중인 프로젝트들이 많아 연말까지 120억 달러 수주는 무난할 것"이라며 "선주와의 신뢰 관계 유지로 초일류 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명패 달린 한강 책들…주문 폭주
  • 한국, 요르단에 2-0 승리…이재성 선제골ㆍ오현규 데뷔골ㆍ황희찬 부상
  • [초고령사회, 일본에 길을 묻다] ③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치매 카페부터 버스 없는 버스정류장까지
  • 힘받는 10월 기준금리 인하설…영끌족 숨통 트일까
  • 트랜스포머·스폰지밥까지...정용진의 ‘테마파크 신세계’ 연다
  • 아이돌 멤버가 국회에?…미리 보는 '뉴진스 하니' 국감 현장 [이슈크래커]
  • '2024 세계 최고 직장 순위 100'에 한국 기업 단 3곳…일본·중국은? [그래픽 스토리]
  • '학폭 의혹' 안세하, 자필로 전면 반박…"악의적 공격, 허위 인터뷰 계속돼"
  • 오늘의 상승종목

  • 10.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077,000
    • -0.36%
    • 이더리움
    • 3,245,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438,500
    • +0.64%
    • 리플
    • 721
    • +1.12%
    • 솔라나
    • 189,100
    • -0.05%
    • 에이다
    • 462
    • +0.22%
    • 이오스
    • 630
    • +1.61%
    • 트론
    • 217
    • -0.91%
    • 스텔라루멘
    • 123
    • +0.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950
    • +0.42%
    • 체인링크
    • 14,370
    • +0.35%
    • 샌드박스
    • 337
    • +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