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유동성 특정금전신탁으로 몰린다

입력 2006-10-08 16: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와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특정금전신탁에 최근 월 평균 4조원 이상의 자금이 몰리면서 수탁 잔액이 70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5월 은행의 특정금전신탁은 월평균 1조2000억원이 증가했으나 6월부터 지난달 27일까지는 월 평균 2조5000억원이 늘어 종전보다 2배 이상으로 수탁액이 증가했다.

또 증권사의 특정금전신탁에도 1∼5월에 월 평균 50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됐으나 6월부터 9월 27일 사이에는 종전보다 4배 가까운 월 평균 1조9000억원의 자금이 들어왔다.

이에 따라 은행의 특정금전신탁 잔액은 9월 27일 현재 2조6000억원으로 늘었으며 증권사의 잔액도 9조9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로써 은행의 불특정금전신탁 잔액(17조원)을 합친 은행ㆍ증권사의 금전신탁 잔액은 총 69조5000억원으로 집계, 70조원에 육박했다.

이처럼 은행ㆍ증권사의 금전신탁에 자금이 몰리는 것은 금리 경쟁력과 수시 입출금의 편리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9월말 현재 특정금전신탁의 수익률(콜특정금전신탁 기준)은 연 4.27∼4.40%로 종금사 CMA(종합자산관리계좌)의 연 4.20∼4.25%, 확정금리 상품인 은행 MMDA(수시입출식예금)의 연 3.20∼4.20% 보다 높으며 연 4.39% 내외의 수익률을 보이는 MMF(머니마켓펀드)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은행ㆍ증권사는 단기자금 유치를 위해 수탁자금을 콜, 발행어음, 단기 CP(기업어음) 등 단기 금융상품에 운용하는 한편 수시입출금이 편리한 상품을 개발 판매하고 있는 것도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증권사는 단기 금융상품을 주로 편입하는 MMT(머니마켓트러스트)를 통해 6월초부터 9월 27일까지 5조3000억원에 달하는 초단기 법인자금을 모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응원봉에, 선결제 커피까지…'집회 문화', 이렇게 달라졌다 [이슈크래커]
  • 尹대통령, 사상 첫 출국금지…대통령실은 침묵
  • 트럼프 당선에 계엄까지…강달러 시대, '환테크' 해볼까 [경제한줌]
  • 한화·LG·삼성은 알짜배기 챙겼는데 길어지는 KIA의 침묵…이유는? [이슈크래커]
  • ‘내란 상설특검’에 ‘추경호 제명’…野 계엄 수습 속도낸다
  • [종합] 국내 증시 연중 최저점 경신…코스피 2360선 추락
  • 尹 모교 충암교 교장, 잇따른 조롱에 경찰 순찰 강화 요청
  • 尹 끈 떨어진 K바이오…육성사업 줄줄이 ‘없던 일’ 되나
  • 오늘의 상승종목

  • 12.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200,000
    • -1.9%
    • 이더리움
    • 5,355,000
    • -4.12%
    • 비트코인 캐시
    • 836,000
    • -3.24%
    • 리플
    • 3,336
    • -7.38%
    • 솔라나
    • 316,000
    • -4.24%
    • 에이다
    • 1,527
    • -7.79%
    • 이오스
    • 1,650
    • -9.64%
    • 트론
    • 400
    • -9.71%
    • 스텔라루멘
    • 625
    • -9.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2,200
    • -7.09%
    • 체인링크
    • 32,610
    • -9.74%
    • 샌드박스
    • 1,123
    • -11.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