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공존ㆍ공멸’ 기로에 선 소비자편익

입력 2024-10-25 05: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문현호 생활경제부 기자
▲문현호 생활경제부 기자
최근 햄버거를 주문하기 위해 열어본 한 배달앱. 다소 비싸게 느껴지는 A사 버거 브랜드의 햄버거 세트 메뉴 가격을 자세히 들여다봤다. 얼마 전 매장에서 같은 버거 세트를 사먹을 때보다 1300원 비쌌다. 얼마 전부터 이 버거 브랜드가 본격 시행한 ‘이중가격제’ 때문이다. 이중가격제는 매장 가격보다 배달앱에서 판매하는 가격을 더 높게 책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외식 브랜드 업체가 이중가격제를 꺼내든 이유는 단 하나다. 배달의민족 등 배달앱 플랫폼 업체가 기존보다 배달앱 중개수수료를 올리면서 브랜드 가맹점주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중가격제가 외식업계 전반에 확산하자,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들 몫이 됐다는 점이다. 배달앱 멤버십에 가입하지 않으면 무료 배달 혜택을 누릴 수 없어 내야 할 돈은 더 많아진다. 이중가격 적용 사실조차 모르고 주문하는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외식업체들은 소비자들에게 이중가격이 가맹점 수익성 확보 등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조치라고 항변한다. 여기에 맘스터치를 비롯한 몇몇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수수료 인상 이유로 들어 연쇄적인 가격 인상 움직임도 보인다.

정부도 수수료 갈등을 풀기 위해 나서고 있지만 큰 진전 없이 공회전만 거듭하고 있다. 최근 열린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 회의에서도 수수료 부담 완화 방안 등 주요 쟁점에 대해 논의했지만,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한 채 빈손으로 끝났다.

그동안 배달의민족 측은 상생협의체에 매출액 구간별로 차등 수수료를 적용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매출 상위 60% 업체에는 중개 수수료율을 기존과 같은 9.8%로 유지하고, 나머지 매출액 구간 업체들에는 수수료를 차등적으로 낮추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입점업체들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수수료율 5% 제한을 요구 중이다. 업계 1, 2위인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도 수수료 인하를 놓고 서로 눈치싸움을 벌이며 네 탓 공방만 벌여 왔던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다만 아직 갈등 해결의 여지는 있다. 8차 회의에서 그간 소극적이었던 쿠팡이츠도 일괄 5% 수준으로 수수료율을 낮추는 상생안을 제시하며 전향인 자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30일 열릴 제9차 상생협의체 회의가 ‘배달플랫폼 수수료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정부가 직접 나서 입법으로 개입하겠다고 밝혀서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10월 말까지 합의안을 마련해 볼 것”이라며 “(불발되면) 입법 등 추가 방안에 대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배달플랫폼과 입점업체가 상생하기 위해서는 한 발씩 물러나는 ‘통 큰 양보’가 필요하다. 소비자들의 외면으로 업계 전체가 침체하는 ‘공멸의 길’ 대신 양측 모두 전향적인 자세로 ‘공존의 길’을 택하는 결과가 나오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젠 자유로운 부동산 파티?!"…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왜? [왁자집껄]
  • 중세의 낭만은 빼고 현실감은 가득 채운 오픈 월드 RPG ‘킹덤컴:딜리버런스2’ [딥인더게임]
  • '나솔' 24기 영식, "나는 옥순바라기"…역대급 돌진에 시청자도 경악 "레전드"
  • 尹측 "중대 결심" 마지막 변론서 재판부에 경고…尹 직접 신문은 제지
  • 대만 타이중시 신광미츠코시 백화점 폭발 사고 현장 모습
  • 비트코인, 미 증시 하락에도 상승…"ETF 승인 기대감 유효" [Bit코인]
  • "장원영 조문 요청, 강요 아닌 부탁…아빠의 마음이었다"
  • 모두 지드래곤이 되면 좋겠지만…아이돌이 론칭한 브랜드, 결말은? [솔드아웃]
  • 오늘의 상승종목

  • 02.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91,000
    • -1.18%
    • 이더리움
    • 4,006,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505,000
    • -1.56%
    • 리플
    • 3,720
    • +0.59%
    • 솔라나
    • 292,300
    • -0.03%
    • 에이다
    • 1,208
    • +1.68%
    • 이오스
    • 971
    • -2.31%
    • 트론
    • 355
    • -3.27%
    • 스텔라루멘
    • 499
    • +1.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50
    • -1.97%
    • 체인링크
    • 27,870
    • -2.14%
    • 샌드박스
    • 591
    • -2.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