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시각]금리인하가 만병통치약은 아냐

입력 2024-10-29 16: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1%였다. 역성장(-0.2%) 했던 전 분기보단 낫지만 한국은행 예상치 0.5%보다는 0.4% 포인트 낮은 수치다. 그간 부진했던 내수의 성장률 기여도는 개선됐지만 수출이 7분기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면서다.

시장에서는 다시 이창용 한은 총재를 압박하는 분위기다. 경제가 어려우니 다음 달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추가로 금리를 내리라는 것이다. 한은은 10월 금통위에서 3년 2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연3.25%로 내렸다. 가계부채 증가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일부 비판도 있었지만, 한은은 시장과의 소통, 정부와의 정책 공조를 택한 것이다.

금리인하 실기론자들의 말대로 금리 인하 효과는 분명 있다. 본지 조사결과, 기준금리가 0.25%포인트(p) 떨어졌을 때 기업들의 신규 설비투자 금액은 연평균 약 2조 원이 늘었다. 반면, 0.25%p 오르면 두 배 많은 4조 원이 감소했다. 2018년 이후 올해까지 약 6년간 국내 상장(유가·코스닥) 기업들의 설비투자액을 분석한 결과다.

그러나 이 총재의 말처럼 금리 인하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한은에 금리 인하를 압박했던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 연구원조차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경우 민간소비는 9개월 후 최대 0.18%가량 늘어나고, 설비투자는 0.7%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언제까지 한은(금리) 탓만 하고 있을 것인가. 금리인하는 활력을 잃은 경제에 일시적인 회복 주사를 놓는 데 불과하다.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을 맞은 것은 경기부양책을 쓰지 않아서가 아니다.

한국경제는 이미 저성장의 길을 걷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치가 말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올해 잠재성장률을 2%로 예상했다. 미국(2.1%)보다 낮다. 예상이 맞는다면 2년 연속 미국이 한국을 추월한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똑같은 분석을 내놨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분기 GDP 속보치와 관련,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내수·민생 대책 집행을 가속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세금감면·면제,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등 수출·투자 촉진과 내수진작책도 쏟아내고 있다.

돈을 풀고 규제를 풀면 경기가 부양된다는 것쯤은 누구나 안다. 세상에 공짜 점심이 어디 있겠는가. 없는 살림에 돈을 더 썼으니 나라 재정은 어려워질 것이고, 빚을 내라고 부추겼으니 가계부채는 늘어날 것이다. 경기를 살리자는데 어깃장을 놓을 생각은 전혀 없다.

“아날로그 세계가 디지털화하는 급변기에서 독일이 강점을 가진 내연기관과 가전제품 산업은 이에 적응하지 못하고 미국과 중국에 산업 주도권을 내줬다.” 영국 일간 가디언이 독일 경제를 두고 한 지적이다.

한국경제가 살기 위한 답은 한가지다. 산업의 체질을 바꿔야 한다. 또 국회는 입법으로 뒷받침해 기업들이 경제성장의 불씨를 재점화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 중심에는 기업이 있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미 결제된 선수입니다"…본격 막 올린 스토브리그, '변수'는 없을까? [이슈크래커]
  • 먹을 사람 없고 귀찮아서…"김장, 안 하고 사 먹어요" [데이터클립]
  • 12년만 서울 그린벨트 해제…5만 가구 공급, 물량은 ‘충분’·공급 시간표는 ‘물음표’
  • 법인세 회피 꼼수…네이버 5000억 냈는데 구글은 155억
  • 단독 "AI에 진심" 정태영 부회장, '유니버스' 중동 세일즈 나섰다
  • 미 결전의 날…첫 여성 대통령인가 vs 132년만의 패자 부활인가
  • ‘자금 위해’ 글로벌로 눈 돌리는 K바이오, 해외서 투자 유치
  • 北, 미 대선 6시간 전 단거리탄도미사일 수발 발사…닷새 만에 도발 감행
  • 오늘의 상승종목

  • 11.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713,000
    • +2.78%
    • 이더리움
    • 3,386,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475,900
    • +3.93%
    • 리플
    • 713
    • +0.99%
    • 솔라나
    • 231,500
    • +4.28%
    • 에이다
    • 466
    • +1.97%
    • 이오스
    • 590
    • +3.15%
    • 트론
    • 223
    • -2.19%
    • 스텔라루멘
    • 130
    • +2.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350
    • +3.32%
    • 체인링크
    • 15,020
    • +4.31%
    • 샌드박스
    • 330
    • +3.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