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공무원 4명 중 1명, 아직도 '간부 식사' 모신다

입력 2025-01-16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행안부·인혁차,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분석 결과 발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4명 중 1명은 사비로 간부에게 식사를 대접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17일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간부 모시는 날은 직원들이 순번을 정해 간부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관행을 의미한다. 행안부와 인혁처는 지난해 11월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5만4317명(중앙 6만4958명, 지방 8만9349명)을 대상으로 ‘e사람(중앙)’ 및 ‘인사랑(지방)’ 시스템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전체 응답자의 18.1%가 최근 1년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중앙 공무원의 경험률은 10.1%에 불과했으나, 지방 공무원의 경험률은 23.9%에 달했다. 중앙 공무원은 10명 중 1명, 지방 공무원은 4명 중 1명꼴로 간부의 식사를 챙기고 있었다.

간부 모시는 날 경험 빈도는 월 1~2회(중앙 46.1%, 지방 45.9%)가 가장 많았다. 간부 직급은 부서장(과장급)이 57.0%(중앙 61.5%, 지방 55.8%)로 절반을 넘었다. 국장급이 33.6%(중앙 24.6%, 지방 36.0%)로 2위를 차지했다. 간부 모시는 날이 지속하는 원인은 소속 기관별로 차이를 보였다. 중앙은 ‘간부가 인사 및 성과평가 등의 주체이기 때문(37.7%)’이라는 응답이 1위였으나, 지방은 ‘기존부터 지속하던 관행이기 때문(지방 40.7%)’이라는 응답이 1위였다.

응답자의 91.0%는 간부 모시는 날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다만, 지방 공무원은 간부 모시는 날 근절 필요성(87.9%)을 상대적으로 덜 인식했다. 간부 모시는 날 근절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중앙·지방 공무원 모두 ‘간부 공무원의 인식 개선(각각 34.6%, 39.6%)’을 꼽았다. 이어 ‘기관장의 강한 의지’, ‘간부-직원 간 건전한 대화와 소통 기회 확대’ 순이었다.

한편, 이번 분석 결과와 관련해 행안부와 인혁처,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날 중앙·지방 조직문화 담당부서를 대상으로 대책회의를 열었다. 정부는 간부 모시는 날을 신속하게 근절하기 위해 기관장 등 간부들의 인식개선을 추진하고, 계도기간을 거쳐서 실태조사를 재실시할 계획이다. 더불어 저연차 공무원들로 구성된 범정부 조직문화 혁신모임인 ‘조직문화 새로고침(F5)’ 구성원들이 직접 선정한 ‘조직문화 혁신 10대 권고사항’을 안내해 이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황명석 행안부 정부혁신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로 간부 모시는 날이 아직도 일부 조직에 관행처럼 남아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며 “관계기관과 함께 현시점에 맞지 않는 잘못된 관행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자료=행정안전부)
(자료=행정안전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삼성전자, 차세대 먹거리 ‘갤럭시 XR’ 3분기 출격
  • “주춤하는 IT, 전장으로 메꾼다”…삼성·LG, 모빌리티 사업 육성 박차 [모빌리티]
  • '나솔' 24기 영식, "나는 옥순바라기"…역대급 돌진에 시청자도 경악 "레전드"
  • 오름테라퓨틱, 재수 끝 상장…임상 리스크 넘어설까
  • "아이브ㆍ라이즈 동생 그룹이 벌써?"…엔터 업계 '카니발 효과'가 뭐길래 [이슈크래커]
  • '잠삼대청' 토허제 풀린다…재건축 단지 14곳은 제외
  • 인플루언서도 대치맘도 긁혔다…이수지가 꼬집은 대리수치 [해시태그]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2.13 11: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650,000
    • +1.07%
    • 이더리움
    • 4,137,000
    • +4.08%
    • 비트코인 캐시
    • 518,000
    • +2.37%
    • 리플
    • 3,731
    • +1.55%
    • 솔라나
    • 297,900
    • -0.57%
    • 에이다
    • 1,200
    • +1.87%
    • 이오스
    • 992
    • +4.2%
    • 트론
    • 367
    • +0%
    • 스텔라루멘
    • 501
    • +3.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500
    • +2.5%
    • 체인링크
    • 29,000
    • +1.51%
    • 샌드박스
    • 611
    • +3.74%
* 24시간 변동률 기준